본문 바로가기
[투자의 영역]/[부동산]

근저당권이 뭐야?

by 최pro 2025. 2. 9.
반응형

 

근저당권이란?

근저당권은 채권자가 특정 금액 한도 내에서 담보물을 처분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. 쉽게 말해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돈을 빌려준 사람(채무자)의 부동산을 담보로 설정하는 권리입니다.


1. 근저당권의 핵심 개념

일반 저당권과 차이점

  • 저당권: 정해진 금액(예: 1억 원)만을 담보로 설정
  • 근저당권: 한도를 설정하고, 그 범위 내에서 여러 번 돈을 빌릴 수 있음 (예: 한도 2억 원 설정 후 대출받고 추가 대출 가능)

근저당권의 특징

  • 한도액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빌리고 갚을 수 있음
  •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한 추가 설정 없이 대출 가능
  •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이 대출할 때 근저당권을 설정

2. 근저당권 예시

예를 들어, A씨가 은행에서 1억 원을 대출받고, 본인 소유의 아파트에 근저당권 1억 5천만 원을 설정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
  • 처음에는 1억 원만 대출받지만, 나중에 필요하면 5천만 원을 추가로 빌릴 수도 있음
  • A씨가 대출을 갚지 않으면, 은행은 해당 아파트를 경매로 넘겨 돈을 회수할 수 있음

3. 근저당권 설정 과정

1️⃣ 은행 대출 신청 → 2️⃣ 근저당권 설정 등기 (등기부등본에 기재됨) → 3️⃣ 대출 실행
📌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면 근저당권을 말소해야 함!


4. 근저당권 말소 방법

  • 대출을 다 갚으면, 근저당권이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음
  • 채무자가 직접 근저당권 말소 등기를 해야 함
  • 은행에서 말소 서류(말소등기필증, 해지증서 등)를 받아서 등기소에서 말소 신청

5. 근저당권 확인 방법

📌 등기부등본을 조회하면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


6. 근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을 사면?

  • 주의! 근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을 사면, 기존 대출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경매 위험이 있음
  • 구매 전 근저당권을 말소할 것인지 확인 필수!

7. 근저당권 설정이 많은 집은 주의해야 하는 이유

  • 근저당권 설정이 많으면 해당 부동산이 금융기관에 담보로 많이 잡혀있다는 뜻
  • 경매 위험이 높을 수 있으니 매매 시 신중하게 확인해야 함

결론

근저당권은 은행(채권자)이 대출을 담보로 부동산을 잡아두는 권리
대출 한도 내에서 추가 대출이 가능
대출을 다 갚으면 반드시 근저당권을 말소해야 함
집을 살 때 등기부등본에서 근저당권 설정 여부 확인 필수!

반응형

댓글